본문 바로가기
교육/사자성어

끈기 사자성어 모음

by 금원달 2024. 6. 21.
반응형

끈기와 관련된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끈기와 노력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많은 이야기와 말들이 남겨져 있습니다.

끈기 사자성어 우공이산

끈기 사자성어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은 중국의 북산에 살던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태형과 왕옥이라는 두 산을 옮기려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입니다.

우공은 나이가 90세에 가까운 노인이었으나, 집 앞을 가로막고 있는 두 산 때문에 왕래에 불편을 겪자 자식들과 함께 산을 옮기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우공의 행동을 비웃었지만 우공은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산의 흙을 파서 발해만까지 운반하였습니다. 우공의 노력에 감동한 하늘이 두 산을 옮겨주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마부작침(磨斧作針)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마부작침(磨斧作針)은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의 어린 시절 이야기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입니다.

어린 이백이 학문을 위해 상의산에 들어가 공부를 하던 중, 공부에 싫증이 나 산에서 내려오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한 노파가 바위에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백이 노파에게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자 노파는 바늘을 만들기 위해 도끼를 갈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이백은 노파의 노력에 크게 감명받아 다시 산으로 올라가 학문에 매진하였고, 이후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마부작침은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입니다.

 

 

철저성침(鐵杵成針)

쇠 막대기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마부위침과 같은 의미입니다.

 

 

수적천석(水滴穿石)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지속하면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철주성미(鐵杵成米)

쇠 절구공이로 쌀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어려운 일도 끈기로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적토성산(積土成山)

흙을 쌓아 산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쌓이면 큰 것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적토성산(積土成山)은 중국 전국 시대 말기의 유가 사상가이자 학자인 순자가 학문을 권하는 글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입니다.

한 줌의 흙이 모여 산이 되면 바람과 비가 일고, 작은 물이 모여 못이 되면 용이 살 듯, 선행을 쌓고 덕을 이루면 신명을 통하여 스스로 성인의 마음씨가 갖춰질 것이다.

그러므로 한 걸음 한 걸음 걸어가지 아니하면 천리 길을 갈 수가 없고, 작은 물을 모으지 않으면 바다와 같은 큰 물을 이룰 수 없다. 아무리 준마라 해도 단번에 천리를 뛸 수가 없고 아무리 느린 말이라도 쉬지 않고 계속 뛰면 천리를 갈 수 있다.

작은 것이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을 비유하는 말로 쓰입니다.

 

 

 

경석치옥(境石治玉)

거친 돌로 옥을 다듬는다는 뜻으로, 끊임없는 노력으로 자신의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대기만성(大器晩成)

큰 그릇은 늦게 완성된다는 뜻으로,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하여 큰 성과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자(老子)의 저서인 도덕경 제7장에 등장하는 구절 "대기면성(大器免成)"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구절은 "큰 그릇은 완성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욕심을 버리고 자연스러운 본성에 따라 살아야 진정한 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송나라 시대 학자들은 도덕경의 해석 과정에서 "대기면성(大器免成)"을 "대기만성(大器晩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후학들이 늦게 출세하는 것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의미로 사용되면서 의미가 변화되었습니다.

 

 

 

초지일관(初志一貫), 일이 관지(一以貫之)

처음에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간다는 뜻으로, 끈기 있게 일을 추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념통천(一念通天)

한 가지 생각이 하늘을 통한다는 뜻으로, 마음을 집중하여 노력하면 어려운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와신상담(臥薪嘗膽)

장작 위에 누워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여 성공을 이루는 것을 뜻합니다.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와 월나라의 왕 구천의 이야기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로, 가시가 많은 나무 위에서 잠을 자며 고통을 참고, 쓰디쓴 곰의 쓸개를 핥으며 패전의 굴욕을 되새겼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이르는 말입니다.

2024.04.19 - [교육/사자성어] - 오나라 월나라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오나라 월나라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오나라와 월나라는 옛날 중국 춘추시대 때 서로 경쟁하던 라이벌 관계의 나라 였습니다. 서로 국경이 맞닿아 있었는데 사이좋게 선의의 경쟁을 펼쳤다기보다 굉장히 사이가 좋치 않아 수시로

shnst.tistory.com

 

 

불요불굴(不撓不屈), 불굴 불요(不屈不撓)

휘어지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에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하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