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나라와 월나라는 옛날 중국 춘추시대 때 서로 경쟁하던 라이벌 관계의 나라 였습니다. 서로 국경이 맞닿아 있었는데 사이좋게 선의의 경쟁을 펼쳤다기보다 굉장히 사이가 좋치 않아 수시로 전쟁을 했습니다.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뜻을 가진 '오월동주'라는 사자성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직역하면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이 한배에 탔다'라는 뜻인데.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났다란 뜻으로 사용될 정도로 사이가 좋치 않았습니다.
이렇게 두 나라 사이의 이야기에서 나온 고사성어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특히 오왕 부차, 월왕 구천 사이의 오랜 기간에 거친 이야기는 손자병법으로 유명한 손무, 동시대 인물인 오자서, 4대미인 서시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수많은 고사를 만들어 냈습니다.
초한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 만큼 유명한 오나라 월나라 고사성어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오월동주 (吳越同舟)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한 배를 타다. 서로 원수처럼 지내는 사람들이 같은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오월동주는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손자(孫子)의 저서인 '손자병법(孫子兵法)'의 구지편(九地篇)에 등장합니다.
손자는 군사 전략을 논하면서 군대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이 바로 지형(地形)과 환경(環境)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손자는 지형과 환경에 따라 군대를 유리하게 운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의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손자는 다음과 같은 비유를 사용합니다.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서로 미워한다. 그러나 그들이 같은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을 만나게 되면, 서로 돕기를 왼손과 오른손이 함께 협력하듯이 한다.
원수나 적대적인 관계에 있던 두 사람이라도 위험에 처했을 때는 서로 협력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와신상담 (臥薪嘗膽)
장작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란 뜻으로 '와신상담'은 원수를 갚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극심한 고생을 참아내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유래
와신상담은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오나라(吳)와 월나라(越) 사이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나라 왕 부차(夫差)는 월나라 왕 구천(句踐)을 패배시키고 굴욕을 준 후, 그의 아버지와 형을 죽였습니다. 이에 구천은 오나라를 떠나 숨어살면서 끊임없이 복수를 꿈꿨습니다. 구천은 곰의 쓸개를 핥으며 자신의 인내심을 길렀고, 군사들을 훈련시켜 힘을 길렀습니다. 20년 후, 구천은 군대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하고 승리했습니다. 와신상담은 이와 같이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내심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입니다.
굴묘편시 (掘墓鞭屍)
굴묘편시는 묘를 파헤쳐 시체에 매질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이는 통쾌한 복수를 의미하는 한편, 지나친 행동을 비판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
굴묘편시의 유래는 춘추 시대 오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오나라 왕 부차는 월나라 왕 구천을 패배시키고 굴욕을 준 후, 그의 아버지와 형을 죽였습니다. 이에 구천은 오나라를 떠나 숨어살면서 끊임없이 복수를 꿈꿨습니다.
20년 후, 구천은 군대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하고 승리했습니다. 그리고 오자서는 부차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꺼내 채찍으로 300대를 쳤다고 합니다. 이 사건을 통해 굴묘편시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났습니다.
사시가편
가편사시
촉루지검 (觸髏之劍)
촉루지검은 군주가 신하를 자살하도록 명령하는 검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는 군주의 절대적인 권력과 신하의 굴종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한편, 권력 남용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
촉루지검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춘추 전국 시대 초 오나라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오왕 부차는 월나라 왕 구천을 패배시키고 굴욕을 준 후, 그의 아버지와 형을 죽였습니다. 이에 구천은 오나라를 떠나 숨어살면서 끊임없이 복수를 꿈꿨습니다.
20년 후, 구천은 군대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하고 승리했습니다. 하지만 이미 부차는 죽었기에 부차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꺼내 채찍으로 300대를 쳤다고 합니다. 이 사건 이후, 오나라의 신하 오자서는 부차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살을 하게 됩니다.
이때 부차가 오자서에게 자살을 명령하기 위해 사용한 검이 바로 촉루지검이라고 전해집니다.
동시효빈 (東施效矉)
동쪽에 사는 못생긴 여자가 서쪽에 사는 예쁜 여자의 찡그린 얼굴을 보고 따라한다.
자신의 분수를 알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모습을 따라하다가 오히려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고 다른 사람들의 비웃음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래
오나라와의 전쟁에 패망하자 월왕인 구천은 나라를 잃고 오왕의 마부 노릇을 하는 굴욕을 견뎠고, 재상 범려는 미인계를 계획하여 서시를 오나라 왕 부차에게 바쳤습니다. 서시의 매력에 빠진 부차는 정사를 돌보길 게을리 하였습니다. 서시에게는 협심증이 있어 미간을 자주 찌푸리곤 했는데 이 모습마저 아름다워 동쪽의 시, 즉 동시가 이를 따라 했으나 사람들의 비웃음만 샀습니다.
오월지침 (吳越之爭)
"오나라와 월나라 사이의 오랜 분쟁"을 의미하는 사자성어로 오랜 기간 지속된 치열한 분쟁과 대립을 의미합니다.
양측이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팽팽하게 맞서 싸우는 상황, 끊임없는 갈등과 충돌을 상징합니다.
유래
오나라와 월나라는 춘추 시대에 가장 강력한 두 나라 중 하나였으며, 서로 영토를 놓고 오랜 기간 전쟁을 벌였습니다. 이 전쟁은 격렬했고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결국 월나라가 승리하게 되면서 오나라와 월나라의 분쟁은 종식됩니다.
오자서 (伍子胥)
오자서는 춘추 시대 오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 지도자로, 자는 자서(子胥)이며 이름은 운(員)입니다. 그는 뛰어난 전략과 탁월한 리더십으로 오나라의 강력한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오자서는 초나라 평왕 때 태자 건의 스승인 오사(伍奢)의 아들로, 태자가 아버지와 형인 오상(伍尙)이 평왕에게 살해되자 복수를 다짐하며 오나라로 망명하였습니다.
오나라의 공자 광(光)을 도와 오나라의 왕이 되게 하고, 초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키고 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그의 시체에 300번의 매질을 하였습니다.
그는 중국 춘추시대의 대표적인 영웅 중 하나로, 그의 삶과 업적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오자서와 관련된 사성어
- 백이절단 (百折不撓): 아무리 꺾여도 굽히지 않는다는 뜻
- 오강월하 (吳江越河): 오강과 월하를 헤쳐나가는 것처럼 큰 어려움을 극복한다는 뜻
- 동시효빈 (東施效顰): 남의 행동을 흉내 내다가 오히려 더 추해지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
서시 (西施)
중국 4대 미녀 중 한 명인 서시(西施)는 춘추시대 말기 월나라의 미녀입니다.
오나라와의 전쟁에 패망하자 월왕인 구천은 나라를 잃고 오왕의 마부 노릇을 하는 굴욕을 견뎠고, 재상 범려는 미인계를 계획하여 서시를 오나라 왕 부차에게 바쳤습니다. 서시의 미모는 대단했고 오왕 부차는 서시에게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며 속국인 월나라에 대한 경계심을 풀도록 만들었습니다. 결국 오왕 부차는 망국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서시와 관련된 사성어
- 침어(沈魚): 서시의 아름다움을 보고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멈춘다는 뜻
- 폐월(閉月): 서시가 나타나면 달빛이 빛을 잃는다는 뜻
- 낙안(落雁): 서시가 날아가는 기러기가 땅에 떨어진다는 뜻
- 羞花(羞花): 서시의 아름다움을 보고 꽃이 부끄러워하는다는 뜻
범려
월나라 재상 범려(范蠡)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 월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 정략가입니다.
월나라가 오나라에게 패하였을 때, 월왕 구천을 도와 오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이후 월나라가 패권을 차지하자, 구천은 범려와 문종에게 높은 관직을 수여했습니다. 그러나 범려는 구천이 함께 영화를 누릴 수 없는 인물이라고 판단하여 관직을 버리고 제나라로 떠났습니다.
그는 제나라에서 상인으로 변신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상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의 삶과 업적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범려와 관련된 사자성어
-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가 죽으면 개도 함께 삶는다는 뜻으로, 주인을 섬긴 사람이 일이 끝나면 버려지는 것을 비유합니다.
- 범蠡상생(范蠡相生): 범려가 상생(相生)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던 것에서 유래했으며, 재능이 뛰어나고 덕이 높다는 뜻입니다.
- 치부신(致富神): 범려가 은퇴 후 성공적인 상인이 되어 큰 부를 축적했던 것에서 유래했으며, 부를 얻어다주는 신이라는 뜻입니다.
손무
손무는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전략가로, 자는 장경(長卿)입니다. "손자병법"으로 유명하며, 후세에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군사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제나라 사람으로 BC 6세기경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병법서인 손자병법을 지어 오나라의 왕 합려에게 바쳤고, 그의 능력을 인정받아 오나라의 군사가 되어 오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그가 지은 손자병법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병법서 중 하나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을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약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군사들의 훈련과 지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현대에도 군사 전략뿐만 아니라 경영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교육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 감언이설(甘言利說) 뜻 유래 (0) | 2024.04.21 |
---|---|
[사자성어] 각골난망(刻骨難忘) 뜻 유래 (1) | 2024.04.21 |
사자성어 퀴즈 1 (초성퀴즈, 예능퀴즈, 사자성어 모음) (1) | 2024.04.19 |
[사자성어] 검려기궁(黔驢技窮) 뜻 유래 (2) | 2024.04.06 |
[사자성어] 걸견폐요 (桀犬吠堯) 뜻 유래 (2)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