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사자성어

[사자성어] 결초보은(結草報恩) 뜻 유래

by 금원달 2024. 3. 29.
반응형

결초보은(結草報恩) 뜻

결(結): 묶다, 맺다

초(草): 풀, 초목

보(報): 갚다, 보답하다

은(恩): 은혜, 고마움

 

결초보은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결초보은과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는

  • 백골난망(百骨難忘): 죽어서도 잊지 못할 은혜
  • 각골난망(刻骨難忘): 뼈에 새길 만큼 잊지 못할 은혜

반대의 의미로

  • 배은망덕(背恩忘德): 은혜를 잊고 배신하는 행위

등 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풀을 묶어서 은혜를 갚는다는 걸까요. 이 말이 생겨나게 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결초보은 유래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에 나오는 춘추시대 진나라의 위과(魏顆)라는 사람의 이야기 입니다.

 

위과의 아버지 위무(魏武)에게는 조희(祖姬)라는 애첩이 있었습니다.

위무는 평소 위과에게 자신이 죽으면 첩이었던 조희를 다른 사람에게 시집보내라고 당부했습니다.

연로한 위무가 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자신이 죽으면 애첩도 함께 묻으라고 유언을 바꾸게 됩니다. 

 

위무가 세상을 떠나자 위과는 평상시 맑은 정신일 때 말씀하신 다른사람에게 시집 보내라는 말이 진실일 것이라고 판단하여

조희를 개가시켜 줬습니다.

결초보은
재가하는 조희

 

그 후 위과가 군사를 이끌고 전쟁터에 나갔을 때, 적군 중 덩치가 크고 힘이 쎈  두회(杜回) 라는 장수 때문에 연전 연패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날도 어떻게 물리칠지를 고민하다 깜빡 잠이 들었는데 귓가에 청초파(靑草坡)라는 소리에 깨었났으나 주위에 아무도 없었습니다.

 

청초파는 전쟁이 벌어지던 인근의 지명이었고 위과는 신의 계시로 여겨 다음날 전투에서 두회를 청초파로 유인하였습니다.

결초보은

 

그러자 어디선가 나타난 한 노인이 풀을 여기 저기 엮어 놓는데, 두회가 그 풀묶음에 걸려 비틀 비틀 하자 위과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달려들어 해치우고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결초보은
우당탕탕 풀에 걸려 넘어진 두회

 

 

그날밤 위과는 승리 자축연을 끝내고 잠자리에 들었는데 꿈에 그 풀을 엮던 노인이 나타나서 말하길

"나는 바로 조희의 아버지입니다. 장군이 아버지의 뜻을 잘 받들어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내 딸을 좋은 곳에 다시 결혼시켜주었습니다. 이 늙은 사람은 저세상에서도 이 일에 대하여 매우 감격했습니다. 장군은 내 딸을 살려준 은인입니다. 그 은혜의 만분의 일이라도 보답하려고 생각하던 중, 장군이 두회와의 대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말을 듣고 작은 일이나마 도와드린 것입니다. 앞으로 장군의 집안은 대대로 번창하여 마침내는 제후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늙은이의 말을 헛되이 듣지 않고 더욱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하고 분명히 하며 사라지고 위과는 노인을 배웅하려고 자리에서 일어났다가 꿈에서 깨어났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결초보은 이라는 고사성어가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결초보은

 

청초파(靑草坡)

청초파는 '푸른풀이 자라는 언덕' 이라는 뜻입니다.

 

 

 

집필 중인 공자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은 중국 춘추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고전 중 하나로, 노나라의 공자가 편찬한 "춘추"의 주석서입니다. "춘추"는 역사서로, 당시의 역사적 사실과 정치적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춘추좌씨전"은 이 "춘추"에 대한 주석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것으로, 좌구명(左丘明)이라는 학자가 편찬했다고 전해집니다.

 

춘추시대(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81년까지)의 정치, 군사, 문화 등 다양한 사건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국가 간의 관계, 인물들의 행적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춘추좌씨전"은 단순한 역사 기록을 넘어서서, 고대 중국의 정치적 사상, 도덕적 가치, 그리고 국가 운영의 원칙 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담고 있어, 중국 문학과 역사, 철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고전으로 여겨집니다.

 

집필 중인 공자

반응형